공지
제17호(11월)
Written by 박응수 | 12-27 | 2493
해양안보협력의 이론 고찰과 아시아 해양안보협력의 발전
* 본고는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2016년 8월호에 게재한 논문을 보완 및 요약 정리한 것임 I. 들어가며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국제사회는 역사적으로 지금까지의 그 어떤 사회보다 개인 간, 국가 간 상호연결성이 심화되고 사회적 성격도 근본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세계화(Globalization)’ 된 …
|
공지
제17호(11월)
Written by 송승종 | 12-27 | 1711
트럼프 행정부의 힘을 통한 평화 구상
Ⅰ. 들어가며 트럼프 행정부가 구상하는 안보전략의 키워드는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이다. 집권 후 추진할 국내·외 정책의 로드맵을 집대성한 공화당 정강정책 중에서 ‘미국의 회생(America Resurgent)’이라는 제하의 섹션은 공화당이 “힘을 통한 평화”를 지향하는 정당임을 명기했다. 이는 일찍이 조지 워싱턴…
|
공지
제17호(11월)
Written by 최기출 | 12-27 | 2990
미래 해군무인체계 개발을 위한 제언
1. 개 요 미 국방부는 아프간 및 이라크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면서 전투부대사령관으로부터 전투원들의 인명손실을 방지하면서 작전의 융통성과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무인체계에 대한 많은 요구를 받았다. 군용무인체계는 ‘테러와의 전쟁’에서 정찰, 신호정보 수집, 정밀공격 표적의 지정, 지뢰 탐지 및 파괴, 그리고 화・생・방 정찰 같은 작전에 기여를 …
|
공지
제17호(11월)
Written by 이정익 | 12-27 | 1934
원자력 추진 잠수함 2
Ⅰ 서론 이전 논문에서 원자력추진 잠수함의 기술개발의 역사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우리나라에서 현재 활용하고 있는 디젤추진 잠수함에 비해서 원자력추진 잠수함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장점에 대해 소개하였다. 아울러 최근에 들어서 원자력추진 잠수함이 원자폭탄이나 수속폭탄 등을 장착한 전략무기를 수송하는 목적으로 건조되기보다는 적국의 잠수함을 요격하는 목적의 Hunte…
|
공지
제17호(11월)
Written by 조덕현 | 12-27 | 3539
악티움 해전에 관한 연구 : 3C Theory를 중심으로
I. 들어가는 말 제1차 세계대전 후 이탈리아 해군대학 교수를 지냈던 기우셉 피오라반조(Giuseppe Fioravanzo) 제독은 인류의 역사를 ‘노선시대-범선시대-추진기시대-해군항공시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전쟁사를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알란 밀렛(Allan R. Millett) 교수는 ‘3C Theory’를 제시하였다. 즉, 전쟁의 …
|
제16호(10월)
Written by 명재진 | 11-15 | 2731
병역기피 목적의 대한민국 국적 포기자에 대한 대책방안
병역기피 목적의 대한민국 국적 포기자에 대한 대책방안 명재진(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 병역기피 목적의 대한민국 국적 포기 실태와 현행법의 문제점 대한민국 국민인 남성은 누구나 헌법과 병역법에 따라 병역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병역의무를 이행하여야 하는 시점에 버젓이 국적을 변경하는 방법을 통해…
|
제16호(10월)
Written by 김무일 | 11-15 | 1991
노 젓는 거북선을 옥포항에 띄워라.
노 젓는 거북선을 옥포항에 띄워라. 김무일(예비역 해군대령) ● 서론 거제시는 ‘이순신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1592년형 군선원형 복원사업 계획」에 따라 지난 2011년에 제작해 지세포항에 정박한 거북선과, 2013년 2월에 제작해 목포항에 입항한 거북선 등 50여 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해 거북선 2척을 관…
|
제16호(10월)
Written by 이정익 | 11-15 | 3772
원자력추진 잠수함 역사와 장단점
원자력추진 잠수함 역사와 장단점 이정익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 부교수 ) Ⅰ 서론 21세기를 맞아 바다는 자원의 보고일 뿐만 아니라 국제교역의 고속도로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환경은 대한민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완벽한 해양안보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