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군, 미래형 추진체계 잠수함 확보 서둘러야 한다 > E-저널 2017년 ISSN 2465-809X(Online)

 

▶E-저널 2017년 ISSN 2465-809X(Online) 목록

E-저널 2017년 ISSN 2465-809X(Online)

제21호(03월) | 한국 해군, 미래형 추진체계 잠수함 확보 서둘러야 한다

페이지 정보

Written by 김종하(정책학박사, 한남대 경영·국방전략대학원장) 작성일17-04-04 11:00 조회4,153회 댓글0건

본문

한국 해군, 미래형 추진체계 잠수함 확보 서둘러야 한다

 

김종하(정책학박사, 한남대 경영·국방전략대학원장)


I. 들어가며


 북한과 주변국들로부터의 군사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한국은 연안에서 근해, 근양, 그리고 원양에 이르기까지 바다에서 우리의 국가이익을 수호, 관철할 수 있는 강력한 해군력을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상과 수중, 공중의 입체화된 전력을 통한 전통적인 해전 수행뿐만 아니라, 합동(合同: joint) 전력의 일원으로서 상륙강습, 종심(縱深) 정밀타격, 적 항공기와 탄도미사일에 대한 광역 방공 등의 다기능·다차원적인 전투력을 제공해 전쟁 억지,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함을 뜻한다. 또한 군함 자체와 탑재 무장이 발휘하는 기술적인 우열에 따라 승패가 좌우되는 해군력의 기술 집약적인 특징을 고려할 때, 현재와 장래의 기술력 발전을 통한 군사적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도 있다. 여기에는 미래형 추진체계의 개발, 확보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은 한국 해군이 리튬계열 2차전지 기반의 AIP 추진체계 탑재 잠수함을 빠른 시일 내에 확보해야 할 필요성에 관해 논의한다.
 
II. 한국 해군 잠수함 재래식 추진체계의 기술적 한계


 잠수함은 수중에서 활동하는 ‘은밀성’을 앞세워 적 해군력이 예상하지 못하는 시간, 위치에서 기습 공격을 가할 수 있다. 이는 적은 규모로도 보다 거대한 적 해군력에게 기습적인 보복과 전력손실, 소모에 따르는 두려움을 강요하여 바다로의 침공을 억지, 견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해군력의 양적, 질적 수준에서 중국, 일본을 비롯한 주변국보다 상대적인 열세에 놓여있는 한국에게 잠수함의 군사 전략적인 가치는 지대(至大)한 것이다. 한국 해군이 독일제 209급을 바탕으로 건조된 ‘장보고’(수중배수량 1,300톤)급 소형 재래식 잠수함을 처음 인수한지 23년만인 2015년 2월 1일, 수중 전력을 총괄 지휘하는 함대급의 잠수함사령부를 세계 6번째로 창설한 것도 이를 반영한 결과다(김귀근, 2015).
 현재 한국 해군은 총 10여척의 잠수함정을 보유 중이다. 숫자상의 주력은 2000년까지 총 9척이 건조된 장보고급이며, 환태평양 훈련(RIMPAC)을 비롯한 여러 다국적 해상 연합훈련을 통해 우수한 운용 능력을 과시한 바 있다 (이정모 외, 2014). 2006년에는 역시 독일제 214급을 바탕으로 제작, 건조된 손원일급의 초도함이 진수되었는데, 이로써 한국 해군은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AIP 추진체계를 탑재하는 재래식 잠수함을 확보했다. 손원일급의 전력화는 해군이 기존의 재래식 잠수함보다 장기간의, 지속적인 잠항 능력을 확보함으로써 수중 임무의 공간적, 기능적인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연안에서의 정찰, 초계, 방어에 그쳤던 수세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한반도 주변 해역을 비롯한 원해(遠海)에서 적 해군력의 활동을 조직적, 체계적으로 차단, 거부, 교란하는 보다 공세적인 역할의 수행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어느 정도 갖추게 된 것이다.
 2014년 기준으로 손원일급은 총 5척이 건조되었으며, 오는 2018년까지 총 9척을 전력화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해군은 2020년대 이후 기존의 장보고급을 대체하기 위해 배수량이 3,000톤급으로 확대된 중(重)잠수함을 확보하는 ‘장보고-Ⅲ’ 차기잠수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장보고-Ⅲ 사업은 잠수함의 설계, 제작, 건조에 이르는 획득 과정 전체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최초의 계획이다. 2018년 1번함을 진수한 후 2020년까지는 실전 배치한다는 것이 목표다(윤병노, 2014).
 오는 2030년 무렵까지는 총 9척의 국산 중(重)잠수함이 장보고-Ⅲ 사업을 통해 전력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은 같은 시기까지 3개 기동전단 규모로 확대될 해군 수상 전력과의 협동 작전 수행과 더불어, 척당 10발 이하의 잠대지 미사일을 탑재, 운용하는 전략무기로서 매우 큰 가치를 차지할 것이다(김호준, 2013). 이미 군 당국은 2013년 2월 손원일급 재래식 잠수함에서 사거리 500∼1,000km급의 국산 순항미사일을 발사, 명중시키는 영상을 공개하여 북한 전역을 겨냥하는 잠대지 전략 타격 능력이 실전에 배치되어 있음을 과시한 바 있다(김병륜, 2013).
 하지만 위와 같은 성과들에도 불구하고, 현재 해군이 보유, 배치하고 있는 잠수함들은 재래식 추진체계의 기술적인 한계에 따른 작전상의 제약을 벗어날 수 없다. 먼저 숫자상의 주력인 장보고급은 전통적인 디젤 기관, 축전지 방식의 추진체계를 탑재, 운용하기 때문에 잠항 기간은 3일 이내로 한정된다. 그 결과 재래식 잠수함 특유의 우수한 항해 정숙성에도 불구하고, 장보고급의 평·전시 임무 수행은 연안에서의 초계, 방어로 국한될 수밖에 없다. 손원일급의 경우, 연료전지 방식의 AIP 추진체계를 탑재해 2주 이상의 장기 잠항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4∼6노트 이하의 저속 항해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20노트 이상의 고속 항해를 실시한다면 손원일급 역시 잠항 지속능력이 1∼2시간으로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김재엽. 2014).
 이 정도로는 적의 해군력 투사(投射)를 지속적으로 거부, 차단하기 위해 잠수함을 동·서·남해의 대륙붕, EEZ에서 조직적, 체계적으로 투입 및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은 상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 특히 한반도를 훨씬 벗어난 600∼1,000해리 이상의 근양, 원양에서는 잠수함 특유의 은밀성에 기반을 둔 생존성, 기습 능력의 발휘에 큰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기동력도 현저히 약화돼 정상적인 수중 임무의 수행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 경우 해군이 계획하고 있는 3개 기동전단 규모로의 수상 전력 확충이 실현된다고 해도, 잠수함의 원거리 호위, 지원 능력이 제한되면서 근양 및 원양으로의 해군력 투사(投射) 능력도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국 해군의 잠수함이 북한, 주변국에 의한 해군력 위협을 결정적으로 억지, 격퇴할 수 있는 전략무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안과 한반도 주변의 공해(公海)뿐만 아니라, 적 해군력의 중심(center of gravity)에 해당하는 주요 해군기지, 항구와 인근 해역에서도 습격, 봉쇄, 출항통제 등의 공세적 임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특히 북한이 개발, 건조를 진행하고 있는 탄도미사일 탑재 잠수함의 입·출항 등 주요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 추적, 견제하고 유사시 파괴하는 전략적 대잠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적 해군력의 통제권 안에 있는 원해(遠海)에서도, 장기간의 지속 잠항, 고속 항해 능력을 겸비하여 생존성, 기습 효과를 함께 발휘할 수 있는 잠수함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 해군은 앞으로 전력화할 잠수함에서 기존 재래식 추진체계의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형 추진체계의 탑재, 운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2차 전지 기반의 개량형 AIP 추진체계와 원자력 추진체계가 그 대안으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가운데 현 시점에서 한국 해군은 기술, 외교 측면에서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원자력 추진체계보다는 리튬 계열의 2차전지에 기반을 둔 AIP 추진체계를 미래형 추진체계로서 우선적으로 개발, 확보할 필요가 있다.

 

III. 2차 전지기반 AIP 추진체계 개발 확보 필요성


 오늘날 잠수함용 AIP 추진체계의 개발 능력을 보유한 국가들의 상당수가 리튬 계열의 2차전지 기술을 적용한 신형 재래식 잠수함의 개발을 추구하고 있다. 독일과 프랑스, 일본이 대표적이다(Annati & Bastiaans, 2015). 이는 기존의 납축전지보다 대용량의 전력(電力)을, 장기간 저장 및 충전하여 지속적인 잠항, 고속 항해 능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리튬 계열의 2차전지의 기술적 효용성을 반영한 것이다(Scott, 2012).
 현재 한국은 이미 리튬 계열의 2차전지를 군사용, 특히 해군 무기체계의 핵심 추진동력으로 개발 및 실용화하는 단계에 있다. 2009년에 처음 공개된 사거리 20km의 장거리 대잠로켓 ‘홍상어’는 발사 후 수중에서 유도, 항해하는 경(輕)어뢰의 추진용으로 리튬-폴리머 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해당 종류의 전지가 어뢰의 추진 동력으로 탑재된 세계 최초의 사례다(이재명, 2010).
 한국 해군이 리튬 계열의 2차전지가 포함된 AIP 추진체계를 탑재, 운용하는 재래식 잠수함을 확보한다면, 현재 손원일급이 보유하고 있는 2주일 이상의 장기 잠항능력과 더불어, 10∼20노트 이상의 고속 항해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을 기존 재래식 잠수함보다 훨씬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적 해군력에 대한 어뢰 공격을 실시하여 위치가 노출된 후에도, 잠수함이 적 수상 전투함정과 대등하거나, 보다 빠른 속도로 회피 항해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전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 사거리가 연장된 고성능의 어뢰, 대함미사일까지 탑재, 운용한다면, 재래식 잠수함으로도 안전하고 기습적으로 적 해군력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IV. 나가며


 리튬 계열 2차전지 기반의 AIP 추진체계를 탑재, 운용하는 재래식 잠수함은 한국 해군이 동·서·남해의 대륙붕, EEZ와 독도, 이어도 등을 포함하는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적의 해상 침범을 거부, 차단, 분쇄할 뿐만 아니라, 적 해군력의 통제권 안에 있는 해역에서 직접 적의 해군 활동을 교란, 방해, 제압할 수 있도록 강화된 생존성과 기습 능력을 보유하게 할 것이다. 이는 어찌보면 원자력 잠수함에 결코 뒤지지 않는 장기간의 지속 잠항, 고속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해군은 잠수함의 장기간 지속 잠항, 고속 항해 능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리튬 계열 2차전지 기반의 AIP 추진체계를 탑재, 운용하는 것을 빠른 시일 내에 추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보고-Ⅲ 중(重)잠수함의 전력화가 2020년대 초반으로 계획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해군의 재래식 잠수함에서 리튬 계열 2차전지 기반의 AIP 추진체계를 탑재, 운용하는 것은 2020년대 중반 이후로 늦춰질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감안해, 장보고-Ⅲ의 개량형, 배수량 500톤급의 신형 잠수정을 대상으로 먼저 탑재, 운용한 후, 손원일급과 장보고-Ⅲ 초기형의 개량 과정에서 추진체계를 교체하는 방안을 먼저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김귀근, “해군 출범 70년만에 잠수함사령부…北위협 능동억제,” 『연합뉴스』, 2015년 2월 1일.
2. 김병륜, “잠대지ㆍ함대지 순항미사일 첫 공개,” 『국방일보』, 2013년 2월 15일.
3. 김호준, “해군, 2020년대 3천t급 잠수함 9척 전력화,” 『연합뉴스』, 2013년 8월 4일.
4. 김재엽, “원양 작전 능력 확보를 위한 한국 해군의 장기(長期) 발전 방안: 항공모함, 원자력 잠수함의 도입을 중심으로,” 『Strategy 21』, 제17권 제2호, (2014년 가을), p. 95.
5. 이정모 외, 『잠수함에 대한 이해 100문 100답』(진해: 해군 제9잠수함 전단, 2014), pp.178-179.
6. 이재명, “한국 해역 수호하는 어뢰 삼형제: ‘ 백상어·청상어·홍상어’,” 『과학과 기술』, 제495호, (2010년 8월), p. 48.
7. 윤병노, “3000톤급 중형 잠수함 장보고-Ⅲ 사업 첫발 뗐다,” 『국방일보』, 2014년 11월 28일.
8. Annati, Massimo, and Bastiaans, Pieter,   “Submarine Developments: Exploring Future Technology Concepts,” Military Technology, Vol. 39, No.2 (2015), pp. 99-100.
9. Scott, Richard, “Power Surge: The Li-ion Alternative to the Lead-acid Submarine Legacy,” Jane’s International Defence Review, February 2012, pp. 36-3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0건 7 페이지
제21호(03월) Written by 김종하(정책학박사, 한남대 경영·국방전략대학원장) | 04-04 | 4154 한국 해군, 미래형 추진체계 잠수함 확보 서둘러야 한다 인기글첨부파일
한국 해군, 미래형 추진체계 잠수함 확보 서둘러야 한다 김종하(정책학박사, 한남대 경영·국방전략대학원장) I. 들어가며 북한과 주변국들로부터의 군사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한국은 연안에서 근해, 근양, 그리고 원양에 이르기까지 바다에서 우리의 국가이익을 수호, 관철할 수 있는 강력한 해군력을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상과 수중, 공중…
제21호(03월) Written by 조덕현(충남대학교) | 04-04 | 3489 포에니 전쟁(Punic War) 연구 인기글첨부파일
포에니 전쟁(Punic War) 연구 조덕현(충남대학교) Ⅰ. 전쟁의 개요 기원전 9세기에 페니키아가 앗시리아(Assyria)의 침공을 받아 패망한 후, 지중해의 통상 패권은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Carthage)에게 돌아갔다. 페니키아의 식민지였던 카르타고(라틴어로는 Punic)는 항해술과 조선술이 발달하여 일찍부터 해상무역을 활발히 하였으며, 지중…
제20호(02월) Written by 최양선(한국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 | 02-27 | 1622 동아시아 해양분쟁과 한미동맹의 딜레마 인기글첨부파일
동아시아 해양분쟁과 한미동맹의 딜레마 최양선(한국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 1. 서 론 오늘날 한국의 해상교통로(이하 해로)는 전 세계로 뻗어있고 한국의 이웃국가들인 중국 및 일본과 해로 대부분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한국은 미국과 안보동맹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과는 최대의 경제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 중국은 경제대국으로 부상하여 동아시아 해양에…
제20호(02월) Written by 최명한(한국해양대학교 군사대학장, 전 주일무관) | 02-27 | 2738 일본의 새로운 해양전략 구상과 해상자위대 전력 강화 인기글첨부파일
일본의 새로운 해양전략 구상과 해상자위대 전력 강화 최명한(한국해양대학교 군사대학장, 전 주일무관) Ⅰ. 서 론 최근 일본은 중국의 급속한 군사력 증강과 해양진출, 그리고 도서 영유권 및 해양자원을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을 자국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센카쿠 열도(尖角諸島, 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영유권을 둘러싸고…
제20호(02월) Written by 박영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지연구센터장) | 02-27 | 1860 해양주권 확보를 위한 해양경비력 강화 시급 인기글첨부파일
해양주권 확보를 위한 해양경비력 강화 시급 박영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지연구센터장) Ⅰ. 서론 현재 한반도는 대외적으로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지난 2017년 2월 12일 북한의 신형 미사일 발사와 그 다음 날 김정남 피살, 조어도 영유권 분쟁으로 인한 중·일의 대립 격화, 2월 22일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차관급 인사 …
제20호(02월) Written by 신현수(산업공학박사, 합동군사대학교 무기체계교관) | 02-27 | 4547 해양무인체계 운용개념 및 발전방향 인기글첨부파일
해양무인체계 운용개념 및 발전방향 신현수(산업공학박사, 합동군사대학교 무기체계교관) Ⅰ. 서론 해양무인체계는 위험(Dangerous)하거나 오염된(Dirty) 해역, 지루하게 반복되는(Dull)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해역, 즉 3D 임무를 수행하는 해역에서 운용함으로써, 인력을 절감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유인체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0호(02월) Written by 전재효 (산업공학박사) | 02-27 | 1667 임무중심 국방재원배분과 분석전문성의 적극적 활용 인기글첨부파일
임무중심 국방재원배분과 분석전문성의 적극적 활용 전재효 (산업공학박사) 1. 북한 비대칭위협의 증대 2017년 2월 12일 일요일 아침,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트럼프 취임이후 미국을 첫 방문한 아베 일본총리가 플로리다 팜비치 골프리조트에서 만찬을 즐기고 있던 시각, 북한은 평북 구성시 방현비행장에서 동해상을 향해 중거리 탄도미사일 한 발을 쏘아 올렸다. 다음날…
제19호(01월) Written by 양욱 | 02-13 | 1979 동북아의 항모경쟁- 제해권을 둘러싼 항모경쟁의 시작 - 인기글첨부파일
동북아의 항모경쟁 - 제해권을 둘러싼 항모경쟁의 시작 -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 ) 전세계에 분쟁이 일어나면 미국 대통령이 제일 먼저 하는 질문이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우리 항모는 어디에 있지?’라는 것이다. 무려 10척의 항모를 가진 미국은 떠다니는 항공기지의 첨단항공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 힘을 시연하고 있다. 2016년 하반기에 무수단 IR…
게시물 검색

HOME  |   BOOKMARK  |   BACK  |   CONTACT US  |   ADMIN
TOP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국가안보융합학부 1103호) / 대표전화 : 042-821-6082 / 팩스번호 : 042-821-8868 / 이메일 : lcljh2009@cnu.ac.kr
Copyright © 한국해양안보포럼. All rights reserved.[본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