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정부와 광복군의 군사 활동 고찰 > E-저널 2019년 ISSN 2465-809X(Online)

 

▶E-저널 2019년 ISSN 2465-809X(Online) 목록

E-저널 2019년 ISSN 2465-809X(Online)

제38호(4-5월) |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군사 활동 고찰

페이지 정보

Written by 이원희(미래군사학회 이사) 작성일19-05-15 16:12 조회1,392회 댓글0건

본문

 

 

시정부와 광복군의 군사 활동 고찰

이원희(미래군사학회 이사)


Ⅰ. 서언 

  2019년은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 정부는 그 기념식을 지난 4월 11일 여의도공원 문화의마당 광장에서 개최하였다. 임정수립 원년인 1919년을 뜻하는 19시 19분에 임시정부 인사들이 1945년 C-47 수송기를 타고 한반도에 귀국한 옛 여의도비행장 터에서 기념행사가 열린 것이다. 이에 앞서 국회는 4월 10일 대한민국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 기념식을 열고 임시의정원 마지막 의장인 홍진 선생의 흉상 제막식 후에 유족이 임시의정원 관인 등 유품을 전달하기도 했으며, 유관순 열사의 독립유공자 서훈등급을 3등급(건국훈장 독립장)에서 1등급(건국훈장 대한민국장)으로 격상하였다. 반면에, 대한민국의 건국 시점을 놓고 벌어지는 ‘1919년 건국론’과 ‘1948년 건국론’이나, 김원봉의 독립유공자 자격에 대한 논란도 뜨겁다.
  일찍이 영국의 역사학자 토인비는 인류의 역사를 ‘도전과 응전의 기록“이라 하였고 도전을 많이 받은 나라일수록 응전에 능하다고 하였다. 이제 대한민국은 역경을 딛고 2018년 세계에서 7번째로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000만 명 이상인 나라를 뜻하는 ‘30-50’클럽에 들어갔다. 이에 본고에서는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년을 맞아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보고 임정 당시 창설된 광복군의 다양한 군사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3‧1운동의 역사적 의미

 

0ec3e3facea934bb0f872df9d8e97185_1557904

 

1. 3‧1운동의 배경과 전개과정

  1910년대 무단통치는 한국인에게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방면에서 억압과 차별, 그리고 생존권 위협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3‧1운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박찬승, 2019). 일제에 의해 1907년 강제퇴위 당한 고종(광무황제)이 1910년 경술국치 이후에 이태왕(李太王)으로 격하되더니 1919년 1월 21일 덕수궁에서 갑자기 승하하였다. 고종황제의 갑작스런 죽음은 독살설을 불러 일으켰고, 이러한 의혹과 울분은 우리의 민족 감정을 자극시켜 3‧1운동에 불을 지폈다. 주지하다시피 제1차 세계대전의 막바지에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제창에 따라 압박받는 식민지 국가와 약소국가에 대한 동정 여론이 일어나자 재일한국유학생들은 2‧8독립운동을 계획하였고, 이는 3‧1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 식민지 청년들이 일본의 수도인 도쿄에서 독립선언을 한 것은 세계사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보기가 힘든 일이다.
  3월 1일 오후 2시 민족대표 33인(천도교 15명, 개신교 16명, 불교 2명)은 종로의 태화관에 모여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고, 같은 시각 탑골공원에서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민들이 독립선언 민중대회를 개최하여 한국이 독립국임과 한국인이 자주민임을 선언하고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가행진에 나섰다. 이날 독립 만세운동은 고종황제의 인산에 참여하기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까지 참여해 순식간에 거대한 시위물결로 커져갔다.
  국사편찬위원회의 ‘3‧1운동 100주년 기념 데이터베이스(DB) 구축사업’에 따르면, 전국의 시위는 1,692건, 참여 추정 인원은 103만 명, 사망자 수는 934명이라는 결과를 발표했다. 3‧1운동의 규모는 일제의 기존 자료에 기록된 시위 참여자 58만 명의 거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다.(『조선일보』, 2019.2.21.)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일제의 탄압은 극에 달했다. 선교사 스코필드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화성시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과 1919년 3월 10일 평양 동북쪽 맹산군 학살사건이 대표적이다.

2. 3‧1운동의 역사적 의미

  3‧1운동은 과거 일부 계층만 참여했던 위정척사운동, 동학농민운동, 애국계몽운동 등과 달리 계층과 계급, 남녀노소, 종교‧사상의 차별없이 모두가 참여한 전 민족적 운동이었다. 3‧1운동은 당시 약소민족의 반제(反帝)‧독립운동에도 영향을 주었고, 한국에 대한 중국인들의 태도를 바꾸게 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민족대표 33인은 자신들의 안전 위험에도 불구하고 독립선언서에 이름을 명기하였다. 독립선언서에는 조선의 독립이 동양의 평화는 물론 세계의 평화에 기여하리라는 전망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겨를이 없고, 응징이나 배타적 감정이 아니라 자유와 평화, 정의와 인도를 독립 요구의 근거로 삼았다. 이후 3‧1운동의 결정체라 할 수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탄생하여 우리 민족의 대표기구인 동시에 독립운동을 위한 중추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Ⅲ. 임시정부 수립과 주요 활동

 

0ec3e3facea934bb0f872df9d8e97185_1557904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상해에서 수립된 뒤 1945년까지 27년 동안 중국에서 활약하였다. 일반적으로 활동하던 지역을 기준으로 상해시기(1919-1932), 이동시기(1932-1940), 중경시기(1940년-1945)로 나눈다. 상해시기는 임시정부수립부터 윤봉길 의거로 임시정부가 상해를 떠나던 1932년 4월까지이고, 이동시기는 이후 항주‧진강‧기강을 거쳐 중경에 이르는 1940년 초까지이며, 중경시기는 이후부터 광복을 맞은 1945년까지이다(김희곤, 2008).
  3‧1운동을 추진한 주역들은 거사 후 국민대회를 열고 임시정부 수립을 구상했다.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하고, 정치체제도 제정(帝政)이 아닌 민정(民政)이었다. 3‧1운동의 독립 열망을 바탕으로 국민은 1919년 3~4월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 상해 임시정부, 국내에 한성정부를 세운 데 이어 1919년 9월 이를 통합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임시정부 입법기관인 임시의정원, 사법기관인 법원, 행정기관인 국무원을 두어 3권분립 체제도 갖추었다. 3‧1운동으로 임시의정원이 설립되었고, 임시의정원을 통해 임시정부를 수립했다는 점에서 볼 때 3‧1운동과 임정, 임시의정원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1. 상해시기 : 1919~1932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해의 프랑스 조계(租界)지역에 둥지를 틀었다. 그 당시 상해의 한인은 500명에 불과한 반면, 러시아 연해주에는 10만 명 이상이 살았고, 하와이에는 5,000명 가까운 한인이 살고 있었다. 재정 및 군사지원을 고려한다면 상해는 임시정부를 두기에 결코 좋은 곳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정부를 상해에 수립한 데에는 역사의 필연으로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상해는 중국 어느 도시보다 자유롭고 활기찬 신흥도시였다. 둘째, 외국의 주권이 행사되는 조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프랑스조계는 영국조계나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했던 공공조계에 비해 안전했으며, 한인들에게 우호적이었다. 셋째, 상해는 해상교통과 무역의 중심지로서 세계로 연결되는 항구이자 국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국제적 공간이었다. 넷째, 이곳은 정치‧외교만이 아니라 군사‧경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혁명거점이자 동아시아 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지였다. 이런 특성 때문에 한국 독립지사들은 이곳에 임시정부를 수립하였던 것이다.
  만주사변 이후 한인애국단의 활동이나 이봉창, 윤봉길 의거는 당시 미미하던 임시정부의 위상을 한국 독립운동의 중심 위치에 끌어올렸으며, 의거를 주도한 김구는 주목받는 인물이 되었다. 윤봉길 의거는 이봉창 의거에 이어 독립운동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고, 중국국민당 정부의 많은 지원을 받게 하였으며, 일제의 농간으로 발생한 만보산사건(1931년) 이후 쌓인 한‧중간의 불신을 완화하는데도 기여하였다. 그러나 윤봉길 의거로 인한 일제의 응징‧보복 때문에 임정은 민족운동의 거점이었던 상해를 떠나야만 했다.

2. 이동시기(장정시기) 1932~1940

  1932년 윤봉길 의거 직후 일본의 탄압과 감시가 강화되자 임정은 상해를 떠나 항주-진강-장사-광주-유주-기강을 거쳐 1940년 중경에 안착하였다. 5000여 Km의 피란길이다. 상해를 떠난 김구는 일제의 체포령을 피해 장진구 혹은 장진으로 이름을 바꾸고, 절강성 성장(城將) 저보성의 도움을 받아 운하 물길을 거쳐 삼아 배 위에서 생활하였다. 일휘교 17호에서 백여 미터 떨어진 ‘남당동 매만가 76호’는 김구가 일제의 추격을 피해 은신하던 곳이다.(한상도, 2008) 김구는 중국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에 설치된 한인특별반 운영을 통해 항일투쟁의 기본을 갖춘 다음 이를 토대로 한인애국단‧한국특무대독립군‧학생훈련소로 체계화된 특무조직을 운영하였다.
  1937년 7월 7일 ‘노구교사건’을 시발점으로 중일전쟁이 일어나고, 12월 13일 국민당 정부의 수도인 남경이 함락되었다. 11월말 임정가족은 진강과 남경을 뒤로 하고, 호남성의 수도인 장사로 이동하였다. 장사로 옮겼으나 일본의 공습이 본격화돼 오래 머물 수 없었다. 장사를 떠나 기차로 피란 가는 임정 대가족은 일본군의 공습 때문에 가다 서기를 반복해야 했다.
  1930년대 중반이래 민족주의 세력은 크게 김구를 중심으로 한 한국국민당, 조소앙과 홍진이 주도하던 한국독립당, 이청천을 비롯하여 만주에서 이동해 온 독립군 출신들이 주축이 된 조선혁명당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민족주의 계열 3당이 통합한 신당으로 한국독립당이 창당되었고, 당의 대표인 중앙집행위원장에는 김구가 선임되었다. 3당의 연합은 곧 세력의 재편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소외된 조선혁명당의 강창제‧박창세‧이운한 등이 이른바 ‘남목청 사건’을 일으켰다. 1938년 5월 장사에서 벌어진 이 사건은 독립운동세력 내부의 갈등이 심각하고 협동전선의 결성이 용이한 일이 아님을 보여주었다(한상도, 2008).

3. 중경시기 : 1940~1945

  중경은 중국 서남쪽 사천성에 있는 도시로, 옛날 삼국지에 나오는 촉나라 땅이다. 1937년 11월 일제에게 수도 남경을 빼앗긴 중국국민당 정부가 중경으로 옮겨가면서 중경이 다시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게 되었다. 임시정부의 중경시대는 1940년 9월부터 1945년 해방 후 환국할 때까지 5년간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임정 27년 기간 중 가장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한 시기이자 전시정부체제이기도 했다.
  중경시기 임정의 최대 과제는 연합국으로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정부로서 공식 승인을 받고 이들의 군사적 지원을 얻어내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승인외교는 끝내 좌절되었다. 이는 임정이 지닌 내재적 한계나 취약성보다 오히려 국제적 요인, 즉 연합국 열강의 한국문제를 바라보는 상이한 인식과 자국의 이해관계가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었다.
  중경에 정착하면서, 임시정부는 정부로서의 위상을 되찾았다. 민족주의 세력을 통일하고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여 세력기반을 확대하였고, 정부의 조직과 체제를 확대 정비하였다. 중경시기에 임시정부가 거둔 가장 큰 성과는 중국관내 독립운동 세력을 임시정부로 결집시켰다는 점이다. 조선민족혁명당을 비롯한 좌익진영의 독립운동 세력이 모두 임시정부로 참여한 것이다. 좌익진영의 무장세력인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하였고, 좌우연합정부를 구성함으로써 임시정부는 민족의 대표기구이자 독립운동 중심기구라는 위상을 확립하고,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여 연합군과 공동작전을 전개하고, 국내진입작전을 시도한 것도 중경시기에 수행한 대표적 활동이었다.

4.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였다. 일제를 상대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여 해방을 맞이하였지만 한국인들 대다수는 해방을 우리 힘으로 쟁취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한국의 독자적인 힘으로 일제를 패망시키지 못하였다는 생각과 연합군들이 일본과 싸워 이긴 전리품을 차지하려는 자국의 이해관계로 인해 일제와 싸운 한국민족의 독립운동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임시정부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가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대한제국이 아닌 대한민국이라는 사실이다. 대한민국이란 나라 이름은 ‘대한제국’의 제(帝)를 민(民)으로 바꾼 것이다. 대한민국이란 국호의 기원은 1897년 10월에 수립되어 짧은 기간 존속하다가 멸망한 대한제국이다. ‘대한제국’에서 ‘대한’을 유지하여 민족사의 지속을 나타내고, 군주가 주권을 행사하던 ‘제국’을 국민이 국가통치의 주체가 되는 ‘민국’으로 바꾼 것이다.(『조선일보』, 2018.7.4.) 다른 하나는 ‘정식’ 정부가 아닌 ‘임시’ 정부였다. 독립을 달성할 때까지 임시로 정부를 구성한다는 뜻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27년이란 장기간에 걸쳐 존재하였으며 국제법상으로 모호한 처지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에게는 주권의지의 상징적 존재였으며, 3‧1운동 후의 독립운동을 통할하는 의미에서 중요한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한국사와 세계사에서 임시정부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는 크다. 대내적으로는 최초의 민주공화정부를 세웠으며, 이념적 분화를 극복하여 좌우통합정부를 달성했다는 점이다. 대외적으로는 세계 식민지해방운동사에서 정부조직으로 27년이란 기간 동안 식민지 해방운동을 전개하였고, 이로 인하여 열강세력이 카이로 선언을 통해 독립을 보장한 초유의 기록을 남긴 점이다. 또한  임시정부는 수립 그 자체에서 정통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첫째, 3‧1운동에서 표출된 민족의 열망인 민족국가‧국민주권국가 수립의 욕구를 임시정부가 달성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당시 여러 정부 가운데 실체를 가진 연해주 대한국민의회‧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국내 한성정부를 1919년 9월에 하나로 통합했다는 점이다(김희곤, 2008).

Ⅳ. 광복군 창설과 군사 활동

 

0ec3e3facea934bb0f872df9d8e97185_1557904 

 

  3‧1운동 이후 만주에서 독립군 조직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1919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북간도와 북만주지역에 대한국민회와 북로군정서 등, 서간도지방의 서로군정서 등 모두 46개 단체가 등장했다.(김희곤, 2008) 그 이후 8.15 해방 당시에 독립운동 무장단체는 크게 중경 임시정부의 광복군과 연안 독립동맹의 조선의용군, 그리고 소련의 소수민족 국제군인 88여단 소속  한인부대 등 세 부대가 있었다. 이 중에서 광복군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자.

1. 한국광복군 창설

  임시정부는 1920년 ‘독립전쟁 원년’을 선포하고, 일본이 주변국과 전쟁을 일으키면, 대일전쟁에 참전하여 독립을 쟁취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를 위해서는 임시정부 산하에 정규군이 필요하였기에 각지에 산재한 독립군을 복속시켜 정규군으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군사전략에 따라 1920년 초 발표한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는 대내외 상황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임정은 인적‧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군 창설계획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가 중경에 정착하면서 이를 실행에 옮겨 한국광복군을 창설했다. 그런데 중국영토 내에서 군대를 편성하려면 중국당국의 승인과 양해가 있어야 했고, 광복군 편성에 필요한 재정적 원조를 중국 측에 의뢰할 필요도 있었다. 임시정부는 중국 정부를 대상으로 광복군의 편성이 중국의 항일전에 유익하다는 논리로 광복군 창설에 대한 교섭을 전개하였다.
  광복군의 창설은 우선 지휘부인 총사령부를 성립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은 9월 17일 중경의 가릉빈관에서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 및 임시의정원 의원들 그리고 중경위수사령관 유치장군을 비롯하여 오철성‧주은래‧동필무 등 중국의 각 기관을 대표하는 인사들, 또 중경에 있던 외교사절 및 신문사 기자 등 2백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임시정부에서는 1940년을 전후하여 북경, 천진 등 화북지역 일대에 약 20만 명에 달하는 한인들이 이주해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였으며, 중국관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던 한인 무장세력을 광복군으로 편입시켰다. 좌익진영의 무장세력인 조선의용대도 1942년 7월 광복군으로 편입하여 제1지대로 편제되었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됨으로써 중국관내 무장세력이 모두 광복군으로 집결하게 되었다. 광복군은 일제가 패망하는 1945년 8월경에 이르러 700여 명의 병력을 갖추었다. 이를 기초로 광복군은 총사령부와 3개 지대를 갖춘 군사조직으로 발전하였다(한시준, 2009).

2. 광복군의 군사 활동

0ec3e3facea934bb0f872df9d8e97185_15579040ec3e3facea934bb0f872df9d8e97185_1557904
                         독수리 작전 계획 표지                독수리 작전 작전도                     

 

  임시정부가 광복군을 편성한 궁극적 목적은 미국, 영국, 중국과 함께 2차 대전에 연합국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전승국의 자격으로 한국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것이었다. 광복군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군사활동을 전개하였다.

가. 영국군과 공동작전
  일본군의 버마(지금의 미얀마) 침공을 계기로 인도에 주둔하고 있던 영국군이 일본과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영국은 일본과 전쟁을 수행하면서 영어‧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원이 필요해졌고 그것을 광복군측에 요구하였다. 광복군은 대원들 중에서 인원을 선발하여 ‘인면전구공작대’란 이름으로 인도에 파견하였다. 인은 인도, 면은 버마를 가르킨다.
  광복군들은 교육을 마친 후 1944년 초 영국군에 분산 배속되었다. 이들은 일본과 접전을 벌이고 있는 최전선에 투입되어 일본을 향한 대적 방송, 적 문서 번역, 전단 제작, 산포, 포로 심문 등을 담당하였다. 영국군이 크게 패했던 ‘만달레이 전투’에서 영국군을 일본군의 포위로부터 벗어나게 했던 것이 광복군의 대표적인 활동사례이다. 광복군은 1943년 8월부터 일제가 패망한 1945년 8월까지 만 2년 동안 인도‧버마전선에서 영국군과 함께 대일전쟁을 수행한 것이다(한시준, 2009).

나. 미국 OSS와 국내진입작전 추진
  임시정부 군무부에서는 미국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 전략첩보국)와 합작하여 국내진입작전을 추진하였다. OSS측에서는 광복군 대원들에게 OSS특수훈련을 시킨 후 국내로 진입시켜 한반도에 대한 첩보활동에 광복군을 이용하려고 하였다.
  OSS에서는 한국인들을 일본과의 전쟁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와이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과 맥코이 수용소에 있는 한국인 포로들을 활용하는 ‘납코작전’(The Napco Project), 광복군 대원들을 활용하는 ‘독수리 작전’(The Eagle Project), 중국 연안지역에 있는 한국인 공산주의자들을 이용하는 ‘북중국 첩보작전’(North China Intelligence Project)의 세 가지를 마련했다. 이러한 세 가지 계획 중 납코작전과 독수리 작전을 실행에 옮겼다(한시준, 2009).
  OSS는 광복군을 활용하여 국내에 진입하기 위한 독수리 작전을 입안하였다. 1945년 4월 3일 OSS측의 싸전트(Clyde B. Sargent) 대위가 이범석 장군과 실무 협의후 김구 주석과 광복군총사령 이청천을 방문하여 승인을 득하고, 4월 17일 김구는 중국주둔 미군총사령관 웨드마이어(Albert Wedmeyer) 장군을 방문하여 협의가 이루어졌다. 훈련은 미군측에서 담당하였고, 1945년 5월부터 훈련에 들어갔다. 훈련은 두 곳에서 이뤄졌는데 광복군 제2지대 대원들은 서안에서, 제3지대 대원들은 안휘성 입황이란 곳에서 훈련을 받았다. 훈련은 비밀첩보활동을 위한 특수훈련이었고, 과정은 3개월이었다.
  국내진입작전은 3단계로 계획되었다. 우선 광복군대원들을 잠수함으로 국내에 진입시키는 것이다. 다음은 이들로 하여금 국내에 거점을 마련하여 각종 공작과 인심을 선동하는 것이며, 셋째는 OSS측과 연락하여 무기를 비행기로 운반하여 적후방에서 무장활동을 전개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국내진입작전은 일본의 항복으로 실행에 옮겨지지 못하였다(한시준, 2009).

다. 국내 정진대 파견
  일제가 항복을 선언한 직후, 임시정부에서는 국내로의 정진대 파견을 추진하였다. 광복군 수뇌부에서 정진대 파견을 결정한 것은 광복군을 국내에 진입시켜 미국의 협력을 얻어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하고 치안을 유지하여 건국의 기틀을 다지기 위한 조치였고, 정진대는 일제의 투항을 접수하기 위한 투항접수예비대이기도 했다. 광복군 정진대는 OSS 작전팀과 함께 국내로 진입하게 되었다. 광복군 측에서는 7명의 파견대원을 선발하였지만, 지대장 이범수를 비롯하여 김준엽‧장준하‧노능서 등 4명만이 최종적으로 결정됐다. 그리고 OSS측은 책임자 버드 대령을 포함하여 모두 18명이었고, 이 중에는 한국인 미공군장교인 정운수가 버드 대령의 통역으로 참여하였다(한시준, 2009).

마. 건군 준비
  일제가 패망한 후 임시정부는 환국의 추진과 함께 건국에 필요한 건군을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임시정부는 중국 내에 있는 일본군 출신의 한적사병과 한인청년을 접수하여 광복군으로 편입시켰다. 그리고 편입한 인원들을 중심으로 각 지역별로 잠편지대(임시로 편성한 지대)를 편성하도록 하였다. 일제가 패망할 당시 광복군총사령부와 중경‧서안‧부양에 거점을 둔 3개 지대를 갖추고 있었는데 1945년 10월 말에는 한구‧남경‧항주‧상해‧북경‧광동에 6개의 잠편지대가 편성되었다. 그러나 광복군의 확군활동은 중국측의 제재로 중단되고 말았다. 중국공산당은 광복군이 활동영역을 넓혀가자, 대규모의 한인무장단체를 불안요소로 여기게 된 것이다(한시준, 2009).
  국내에서도 건군 준비를 위해 ‘광복군 국내지대’를 설치하였다. 광복군 국내지대 지대장으로 임명된 오광선은 국내로 돌아와 동대문 밖 숭인동에 ‘광복군 국내지구사령부’를 설치하여 국내의 청년들을 모집하고 광복군으로 편성하려 하였다. 광복군 국내지대는 서울, 춘천, 개성에 설립되었다. 미군정에 의한 사설군사단체 해산 이전까지 대원모집 활동, 임시정부요인 경호, 사관양성기관 설립, 후원회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5년 11월 23일 임정 요인들이 환국 당시 광복군 국내지대는 120여 명 이상으로 임시정부 요인들을 경호하고 경교장을 경비하는 업무를 맡았다(한시준, 2009).
  해방 후 국내는 수많은 군사단체들이 조직됐다. 1945년 11월 미군정청에 등록된 것만도 30여 개에 달했다. 미군정은 군사단체들의 활동을 금지시키고 미군정 주도하에 건군을 추진하였다. 1945년 11월 국방사령부를 설치하였으며, 1946년 1월 14일 사설군사단체 해산령을 발표하고, 다음날 국방경비대를 창설하였다. 미군정은 건군을 추진하면서 광복군을 기용하고자 하였다. 광복군 국내지대는 1946년 3월 2일 해체되었다.

Ⅴ. 결언

  1919년은 일제의 식민지에서 벗어나 스스로 독립국임을 세계만방에 고하고, 세계 최초로 헌법에 ‘민주공화정’을 명기한 우리 역사에서 중요한 1년이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3‧1운동의 민족적 열망에 의하여 수립되었으며, 임시정부의 수립이 없었다면 3‧1운동을 가치도 감소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임시정부는 그 위상이나 역할에 비해 과소평가된 면이 없지 않다.
  임시정부는 정부군으로서 광복군을 조직하여 운용하였다. 중국 정부의 통제로 인해 광복군은 상당 기간 실제로는 중국의 군대와도 같은 지위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었으나 일본의 패전 직전에는 임시정부의 군대로서의 실질을 회복하고 독자적인 군령권의 행사를 보장받기도 하였다. 1941년 태평양전쟁의 발발 이후 임시정부는 정식으로 일본에 대하여 선전포고를 하였고, 광복군은 인도‧버마전선에서 영국군과의 공동작전, OSS와의 국내진입작전과 정진대 파견 등 독립을 위한 다양한 군사활동을 전개하였다.
  최근 들어 친일교가 교체, 친일인사의 동상 및 시비 철거, 지명‧도로명 바꾸기 등 친일잔재 청산, 친일흔적 지우기가 한창이다. 심지어 일본 전범기업의 제품 구매금지 조례안까지 추진하고 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했지만 과연 이러한 행위가 최상의 선택이자 현명한 처사인지 다시한번 생각해 볼 문제이다. 이제는 반일(反日)‧배일(排日)이 아니라 극일(克日)‧용일(用日)해야 한다는 것이 결코 나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번영된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는 오늘이 바로 독립운동가들이 그토록 꿈꾸었던 내일이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참고문헌

김광재, “한국광복군과 미 OSS의 合作訓練”, 『군사』 제4호, 2002.
김민호, “한국광복군 국내지대의 결성과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49집, 2014.
김희곤, 『대한민국 임시정부Ⅰ - 상해 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도진순, 『쉽게 읽는 백범일지』, 돌베개, 2006.
박찬승, 『1919』, 다산초당, 2019.
박환, 『만주지역 한인 민족 운동의 재발견』 국학자료원, 2014.
선우진 지음, 최기영 엮음, 『백범 선생과 함께 한 나날들』, 푸른역사, 2009.
신효승,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사전략과 ‘陸軍臨時軍制’ 변화”, 『역사민속학』 54, 2018.
윤병석, 『간도 역사의 연구』, 국학자료원, 2003.
이현희, 『대한민국임시정부연구』, 혜안, 2001.
조동걸,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한상도, 『대한민국 임시 정부Ⅱ - 장정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한시준, 『대한민국 임시정부Ⅲ - 중경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건 1 페이지
제38호(4-5월) Written by 길병옥(충남대 교수) | 05-20 | 1110 한반도 비핵화와 대북정책 방향에 관한 소고 인기글첨부파일
(출처 - 연합뉴스) 한반도 비핵화와 대북정책 방향에 관한 소고 ​ 길병옥 ​ ​ 동북아 및 한반도 정세변화가 다차원적이고 전방위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현재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을 추구하는 정부의“평화경제”의 방향은 아직도 구체화하기에 그 전도가 요원한 상태에 있다. 한반도 비핵·평화 프로세…
제38호(4-5월) Written by 김덕기(공주대 안보과학대학원 교수, 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05-20 | 1781 미국과 중국의 남중국해에서의 해양패권경쟁은 언제 끝날 것인가? 인기글첨부파일
​(출처 - 매일경제 & mk.co.kr) 미국과 중국의 ​ 남중국해에서의 해양패권경쟁은 언제 끝날 것인가? ​김덕기 ​ ​I.시작하면서 최근 중국은 남중국해 주변을 따라 U자 모양으로 9개의 점선을 그어, 동 해역의 약 90%가 포함된 안쪽 해역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인공섬을 건설…
제38호(4-5월) Written by 김정윤(한길C&C, M&S 연구소 소장, 이사, 공학박사) | 05-16 | 2031 가상 및 증강현실의 제한점을 고려한 국방적용 방안 인기글첨부파일
​(출처 - 테크 M) 가상 및 증강현실의 제한점을 고려한 국방적용 방안 ​ ​ 김정윤 한길C&C, M&S 연구소 소장, 이사, 공학박사 서론 ​ 가상현실(VR: Virutal Reality)과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은 최근 …
제38호(4-5월) Written by 이원희(미래군사학회 이사) | 05-15 | 1393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군사 활동 고찰 인기글첨부파일
임 ​ 시정부와 광복군의 군사 활동 고찰 이원희(미래군사학회 이사) Ⅰ. 서언 2019년은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 정부는 그 기념식을 지난 4월 11일 여의도공원 문화의마당 광장에서 개최하였다. 임정수립 원년인 1919년을 뜻하는 19시 19분에 …
제38호(4-5월) Written by 임익순(충남대학교) | 05-15 | 1944 삼도수군통제사 재임명 후 수군재건 과정에서 나타난 이순신의 위기관리 리더십 인기글첨부파일
삼도수군통제사 재임명 후 수군재건 과정에서 나타난 이순신의 위기관리 리더십 임 익 순 평시에 전투부대를 창설하고 육성하는 일은 대단히 복잡하고 어려운 과업이다 . 우선 병력을 차출하고 편제에 맞게 편성을 하며 , 장비와 무기 , 탄약을 획득하여 분배하고 전투를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도록 교육훈련을 하여야 한다 . …
제38호(4-5월) Written by 전기석 (충남대학교) | 05-15 | 1664 부하를 죽이고 조직을 망치는 독성리더십 인기글첨부파일
​(출처 - 매일경제 & mk.co.kr) 부하를 죽이고 조직을 망치는 독성리더십 전기석 (충남대학교) ​ Ⅰ. 들어가는 말 ​ ​ 2018년 한국 사회의 주요 키워드중 하나가‘갑질’이라는 여러 언론 보도가 나타내는 것처럼 최근 국민들은 대기업 총수와 가족, 그리고 중소기업의 대표 뿐 아…
제38호(4-5월) Written by 조덕현(충남대학교 교수) | 05-15 | 1539 영국·네덜란드 전쟁 해전에 관한 연구 인기글첨부파일
영국·네덜란드 전쟁 해전에 관한 연구 조 덕 현 충남대학교 교수 Ⅰ. 서 론 ​ 스페인의 번영을 계승한 국가는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파한 영국이 아니라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네덜란드였다. 네덜란드는 독립을 쟁취하였을 때 이미 무역을 전 세계에 확장하고 있었으며, 암스테르담이 유럽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네덜란드는 …
게시물 검색

HOME  |   BOOKMARK  |   BACK  |   CONTACT US  |   ADMIN
TOP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국가안보융합학부 1103호) / 대표전화 : 042-821-6082 / 팩스번호 : 042-821-8868 / 이메일 : lcljh2009@cnu.ac.kr
Copyright © 한국해양안보포럼. All rights reserved.[본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