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육군의 로봇 적용 전망 (4/5) > E-저널 2022년 ISSN 2465-809X(Online)

 

▶E-저널 2022년 ISSN 2465-809X(Online) 목록

E-저널 2022년 ISSN 2465-809X(Online)

제 55호(2-3월) | 미래 육군의 로봇 적용 전망 (4/5)

페이지 정보

Written by 김정윤 작성일22-03-17 22:40 조회992회 댓글0건

본문

4. 로봇 발전 40년 로드맵


 로봇/무인 기술중심의 미래 기술수준의 발전 흐름을 2020년대, 2030년대, 2040년대, 2050년대로 구분하여 10년 단위 로드맵으로 구성했다. 다음 그림은 로드맵의 풍자도이며 전장에서 로봇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AI활용이 늘어나는 것을 풍자하고 있다.​30)

 

989177ce755c1606c6e0a14916928545_1647501

[그림-13] 로봇발전 추세 풍자도

 

다음 표는 로드맵의 요약표이다.

 

<표-5> 로봇 발전 40년 로드맵

989177ce755c1606c6e0a14916928545_1647502
 

결론


 로봇기술 태동기에 있었던 인간을 모방한 기계라는 로봇의 정의는 더 이상 최근 로봇기술을 설명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을 만큼 사회 전반에 걸쳐서 로봇은 영향력은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힘들고, 더럽고, 위험한 일을 대신하거나 단순하고 반복적인 동작을 수행해 왔던 로봇이 스스로 차량을 운전하고, 주식을 매수하며, 환자를 진단하는 등 인간의 일상적인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또한, 첨단 IT기술, 바이오, 나노, 인공지능기술들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로봇기술의 등장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인간의 생활을 가능하게 해 주고 있다.​31)​ 군사분야의 로봇기술도 가속적으로 변하고 있고, 미치는 영향도 지대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로봇관련 기술에 대한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에 대한 예측의 기반 하에 기술발전에 따른 향후 로봇 활용에 대한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부분적이고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로봇기술 현재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로봇이 활약하는 미래전장을 예측하였다. 

 

 기술의 발전은 전장환경을 크게 변화시킨다. 기술적 발전추세를 파악은 미래의 전장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무인 로봇전투부대는 미래전장환경에서 두각을 나타낼 무기체계일 것이다. 이미 드론을 포함한 로봇은 정찰, 공격, 폭발물 제거 등 전장환경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로봇무기체계는 관련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나날이 그 기능과 성능, 작동범위가 개선/확대되고 있다.

 

 미래 로봇 전망은 로봇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 방향성을 바탕으로 한 미래 로봇 육군 전술 개발이 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탐색, 정찰 및 정밀타격 실현, 인명 감소 등을 위해, 그리고 로봇전력 확보사업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군·전문가 집단의 의견 수렴과 공감대 확산을 위해 필요하다. ​ 

​​ 

<각주>

 

1) Goldin, Ian. Terra Incognita (Book) (p. 161). Random House, 2020. Kindle Edition.

2) 국가안보융합학부, '기술적 발전추세를 고려한 미래전장환경에서의 무인 로봇전투부대 최적화 편성 및 운영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연구보고서(육군본부 정책실 주관), 2021.12.28.

3) Goldin, Ian. Terra Incognita (Book) (p. 161). Random House, 2020. Kindle Edition.

4) Mordechai Ben-Ari, Francesco Mondada, 'Elements of Robotics', Springer Open, 2018.

5) IIoT :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산업용 사물인터넷.

6) Weak AI : 약인공지능바툭게임퀴즈와 같이 특정분야에서 인간과 대등하거나 초과하는 능력을 가진 AI.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2건 3 페이지
공지 제 55호(2-3월) Written by 이장호 | 04-12 | 1590 클라우제비츠의「전쟁론」이 주는 함의 인기글
클라우제비츠의「전쟁론」이 주는 함의 이장호(충남대 교수) 1. 서 론 현재 지구촌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오히려 미국과 중국에 쏠린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면서 미국 주도하 유럽의 주요 동맹국들이 러시아 경제제재를 가하면서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실정이다. 언론이나 신문지상의 여론을 보면, 서방 …
공지 제 55호(2-3월) Written by 이봉철 | 03-17 | 1314 경계부대 「매너리즘」 관리방안 인기글
경계부대 「매너리즘」 관리방안 육군 준장 이봉철 1. 서론 이 글을 쓰게 된 배경과 목적은 언론을 통해 ‘경계작전 실패’라고 보도되는 일련의 사례들을 보면서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반복되고, 무엇이 문제이며, 해결방안은 없는지?’ 대한민국에 근무하는 모든 경계부대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써내려…
공지 제 55호(2-3월) Written by 김정윤 | 03-17 | 1166 미래 육군의 로봇 적용 전망 (1/5) 인기글
미래 육군의 로봇 적용 전망 한길C&amp;C, M&amp;S연구소장, 이사 공학박사 김정윤 ​ 서론 [그림-1] 휴머노이드 부대 (상상도) 로봇은 현대사회에서 이미 큰 부분을 차지했다. 세계적으로 인구 만 명당 로봇대수는 2018년 당시 이미 수 십대를 넘…
공지 제 55호(2-3월) Written by 김정윤 | 03-17 | 1017 미래 육군의 로봇 적용 전망 (2/5) 인기글
2. 구성기술의 종합으로서의 로봇 무기체계 위의 기술을 종합한, 로봇무기체계로서의 전망 내용이다. 구성기술들의 발전전망을 바탕으로 융합체로서의 로봇이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에 대해 직관적으로 추정한 내용이다. 역시 설문조사에 응답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한 내용이다. &lt;표-2&gt; 구성기술 종합체로서의 로봇 무리체계 …
공지 제 55호(2-3월) Written by 김정윤 | 03-17 | 1089 미래 육군의 로봇 적용 전망 (3/5) 인기글
❏배터리팩(battery pack) 배터리팩은 로봇의 파워와 지속시간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다. 특히 무기체계 로봇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보다 가볍고 강력하며 지속적인 배터리 필요하다. 보스톤다이나믹스(Boston Dynamics)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휴머노이드 개발(Atlas)해서 미래의 로봇이 할 수 있는 동작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런…
공지 제 55호(2-3월) Written by 김정윤 | 03-17 | 993 미래 육군의 로봇 적용 전망 (4/5) 인기글
4. 로봇 발전 40년 로드맵 로봇/무인 기술중심의 미래 기술수준의 발전 흐름을 2020년대, 2030년대, 2040년대, 2050년대로 구분하여 10년 단위 로드맵으로 구성했다. 다음 그림은 로드맵의 풍자도이며 전장에서 로봇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AI활용이 늘어나는 것을 풍자하고 있다. ​30) [그림-13] 로봇발전 추세…
공지 제 55호(2-3월) Written by 김정윤 | 03-17 | 977 미래 육군의 로봇 적용 전망 (5/5) 인기글
&lt;각주&gt; 7) Strong AI : 강인공지능 . 다양한 분야뿐만 아니라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인간과 대등한 수준의 AI. 8) 매일경제 , "21 세기 원유 ' 빅데이터 ' 미래 예측 도구로 ", 4.21, 2021. (https:// www.mk.co.kr/ne…
공지 제 55호(2-3월) Written by 김덕기 | 03-17 | 1026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한반도 안보에 주는 전략적 함의 (1/3) 인기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한반도 안보에 주는 전략적 함의 김 덕 기(동아대 특임교수) I. 시작하면서 최근 미국과 중국이 남중국해, 인도·태평양은 물론 동아시아의 전략적 이익을 두고 경쟁하는 가운데 러시아가 다양한 이유로 우크라이나를 군사적으로 위협하면서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러시아가 미국과 EU에 우크라이나…
게시물 검색

HOME  |   BOOKMARK  |   BACK  |   CONTACT US  |   ADMIN
TOP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국가안보융합학부 1103호) / 대표전화 : 042-821-6082 / 팩스번호 : 042-821-8868 / 이메일 : komsf21@gmail.com
Copyright © 한국해양안보포럼. All rights reserved.[본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